심리테스트

[돈쓰는 패턴으로 알아보는 성격 ③] 계획형 소비 vs 감정형 소비

news4796 2025. 4. 20. 13:10
반응형
SMALL

📊 당신의 돈 쓰는 기준은?

 

 

✅ "이건 필요해서 샀어." 정말 그럴까요?

우리는 물건을 살 때 ‘계획적으로 소비했다’고 말하지만,
사실 그 안에는 감정이 아주 많이 섞여 있어요.
 
지금까지 구매했던 것 중 진짜 ‘필요’해서 산 것이 얼마나 될까요?
혹시 기분전환스트레스 해소보상 심리가 소비의 기준이 된 적 없나요?
 
이번 글에서는
계획형 소비와 감정형 소비의 차이를 구분하고,
당신이 주로 어떤 소비 기준을 가지고 있는지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.


🔍 1. 계획형 소비 vs 감정형 소비, 무엇이 다를까?

구분 계획형 소비 감정형 소비
기준 필요성, 실용성, 목표 기반 기분, 분위기, 감정 해소 목적
구매 전 비교 분석 후 결정 즉흥적 반응, 고민 짧음
주 소비 품목 필수품, 자기계발, 미래 투자형 식음료, 쇼핑, 소소한 플렉스
특징 소비 후 만족감 오래 감 소비 후 후회하거나 무기력감 동반

 
물론 한쪽만 100% 해당되는 사람은 드뭅니다.
다만 어느 쪽의 비율이 더 높은지에 따라 소비 습관이 완전히 달라져요.


🧠 2. 감정형 소비자는 왜 늘 "이건 나를 위한 선물이야"라고 말할까?

감정형 소비자들은 대체로
‘나를 위한 투자’라는 명분을 앞세웁니다.
하지만 사실은…

  • 우울해서 기분을 끌어올리려고
  • 누군가에게 받은 상처를 무의식적으로 달래려고
  • 자기 효능감을 회복하고 싶은 마음에

이렇게 감정을 해소하고자 하는 소비일 때가 많습니다.
 
🙋 감정형 소비자의 특징

  • 스트레스 해소 → 소비
  • 퇴근 후 텅 빈 마음 → 배달앱
  • 기분 안 좋을 때 → 쇼핑몰 탐색

문제는 이 소비가 진짜 감정을 해결해주지 못한다는 점이에요.


📈 3. 계획형 소비자는 돈을 쓸 때 'ROI'를 생각한다

계획형 소비자들은 돈을 ‘지출’이 아니라 ‘투자’로 봅니다.

  • “이걸 사면 나에게 얼마나 유익할까?”
  • “지금 안 사도 되는 거라면 일단 유보”
  • “충분히 고민한 후, 결제 버튼은 마지막 단계”

다시 말해, 이들은 소비를 결정할 때 ROI(Return On Investment, 투자 대비 효용) 개념을 적용합니다.
즉, 내가 이 돈을 썼을 때 얼마만큼의 가치, 경험, 성장을 얻을 수 있을지를 판단하는 거죠.
 
🙋 계획형 소비자의 특징

  • 소비 전에 반드시 검색 or 리뷰 확인
  • 정기적인 예산 관리
  • 불필요한 감정 소비 줄이기 위해 노력

이들은 지출의 감정 낭비를 싫어하고,
스스로의 자제력을 높게 평가합니다.
 
저도 계획형 소비자의 유형인데요 
이 물건을 소유했을때 나의 가치가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 이것도 가끔 고려 합니다. ㅎㅎ 


🧪 4. 나는 어떤 소비자일까? 간단 테스트

아래 문항 중, 더 많이 해당하는 쪽을 선택해보세요.
 
① 구매 전 가격 비교는 필수다
② 뭔가 억울하거나 속상하면 꼭 무언가 사고 싶어진다
③ 계획한 예산 외엔 지출하지 않는다
④ ‘지금 나에게 선물이 필요해!’는 나의 소비 철학이다
⑤ 소비 후 후회는 거의 없다
⑥ 소비 후 가끔 죄책감을 느낀다
⑦ 계획한 지출 외의 소비가 생기면 스트레스를 받는다
⑧ 기분이 다운되면 “뭐라도 사야겠다”는 생각이 든다
⑨ 가격보다 “내가 진짜 원하는 물건인가”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
⑩ 택배가 도착하면 행복감이 확 올라간다
 
 
짝수 문항이 더 많았다면 → 감정형 소비 성향
홀수 문항이 더 많았다면 → 계획형 소비 성향


🎯 5. 감정형 소비자가 계획형으로 가기 위한 3가지 루틴

① 소비 기록 습관화
→ 하루 지출을 1줄이라도 적으면 자각 수준이 올라감
→ 저는 가계부 작성으로 정말 많은 도움을 받았어요!! (영수증 붙이는것만으로도... ㅎㅎㅎ) 
 
② 지출 카테고리 분류
→ 감정 소비 vs 실용 소비를 구분해보기
 
③ 구매 대기시간 설정
→ “지금 필요한 게 맞는가?”를 묻는 시간 확보 (24시간 원칙)
→ 장바구니 넣어놓고 다음날 다시 보면 꼭 사야하나? 라는 생각이 의외로 많이 듭니다. 
 
이 작은 루틴만으로도,
즉흥성과 후회를 줄이는 소비 습관을 만들 수 있어요.


✨ 마무리하며

계획형이든 감정형이든
소비 자체가 나쁜 건 아닙니다.

중요한 건 “내가 왜 이걸 사고 싶은지”를 아는 것.
돈을 쓴다는 건 단순한 쇼핑이 아니라
나의 감정과 가치, 심리를 투영하는 행위예요.
 
건강한 소비 습관으로 똑똑하게 소비하며 살아봐요^^ 
 
4편에서는
「돈을 쓰면 행복해지는 사람들 – 소비로 감정을 조절하는 심리」
를 주제로, 행복과 소비의 연결을 탐구해볼게요.

반응형
LIST